- 우울증의 종류
주요 우울증 내에서도 정신병적인 증상이 동반이 되는 경우, 수면과다, 과식 등의 비전형적인 증상이 우세한 경우, 멜랑콜릭한 양상이 두드러진 경우, 계절적인 양상을 보이는 경우, 출산 후 우울증이 발병한 경우, 만성화된 경우 등 다양합니다.
그런데, 우울증의 종류에 따라서 질병의 성격과 차이를 보이므로, 치료를 시작하기 전에 면밀한 검토가 필요합니다.
- 주요 우울증
우울증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형태의 우울증으로 가장 증상이 심한 경우입니다. 그중에서도 심한 경우는 망상, 환각등의 정신병적 증상이 나타나기도 하고, 꼼짝도 하지 못하고, 먹지도 않고 누워있기만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한, 주요우울증은 치료하지 않으면 재발하는 경향이 있어서, 장기간 치료를 해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기본부전증(만성우울증)
주요 우울증보다 증상의 정도는 심하지 않지만, 2년이상 오래 우울증이 지속되는 경우로 경우에 따라서는 인생의 대부분을 이 장애를 가지고 살기도 합니다. 증상의 경우는 주요 우울증보다는 덜 하지만, 사회생활, 직업에 미치는 영향을 상당히 심하여 환자들에게 고통을 초래합니다.
- 조울증
기분이 들뜨고 활동이 많아지고 자신감에 가득 차 있는 조증상태와 기분이 가라앉고 자신감이 없어지는 우울증의 상태가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형태의 질환입니다. 다른 어떤 경우보다도 유전적인 영향이나, 생물학적인 영향이 강합니다.
- 겉으로는 우울증이 드러나지 않는 경우
특히 청소년기에 학교 성적이 떨어진다거나, 불량스런 행동을 하게 되는 경우 실제 문제는 우울증인 경우가 있습니다. 청소년기의 우울증은 짜증을 잘 내는 것이 특징이지만, 다른 질환일 가능성도 있으므로 조심해야 합니다.
노인에게서 건망증이 심해지는 등 마치 치매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우울증인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불면증, 식이장애, 알콜중독, 약물남용 등의 근처에 우울증이 깔려 있는 경우도 많습니다.
- 특수한 형태의 우울증
월경 전 발생하는 우울증, 산후 발생하는 우울증, 갱년기 우울증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계절에 따라 우울증이 발생하는 계절성 우울 장애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신체질환이 우울증처럼 보이는 경우
우울증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갑상선 기능 저하증이거나 암이 있는 것으로 판명이 될 때가 있습니다. 따라서, 혹시 있을지도 모를 신체적인 질환을 발견하기 위하여 처음 치료를 시행할 때 필요한 진찰과 검사를 수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때로는 약물에 의해서도 우울증이 발생하기도 하므로, 질병으로 인하여 약물을 복용하고 있는 경우, 질병이나 약물에 우울증이 발생하는 것은 아닌지 조사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